안녕하세요?저는 안양예술 고등학교 사진영상과에 재학중인 김하늘담은입니다.필리핀에서 우연히 스쿠버다이빙을 접하게 되어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거의 5년째 스쿠버다이빙을 하고 있습니다.단순히 다이빙 뿐만 아니라, 동물과 자연을 좋아하고 관심이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도 스쿠버다이빙을 멈출 수 없을 것 같아요.요 근래에는 수중사진이라는 것에 푹 빠져 익혀보고 공부해보고 있...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중사진을 시작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당연히 카메라가 있어야겠지요. 그리고 카메라를 물속에 가지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방수케이스 즉 하우징이 있어야 합니다. 게다가 수중에 서 물체의 색을 살려주며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조명이 있으면 금상첨화지요. 요즘 워낙 많은 종류의 카메라가 시중에 나와 있지...
[사진1] 마크로 와이드 촬영 시 Tokina 10-17mm 렌즈를 사용하기 위해 크롭 바디인 후지 S5Pro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수중사진에서 디지털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달한 시기는 아마 4-5년 전 정도가 아닌가 생각된다. 필름 시대 수중사진에서 주종을 이루었던 브랜드는 니콘이었는데 처음 출시되었던 SLR 디지털 카메라인 D100은 수중사진가...
넓은 바다 속을 유람하는 스쿠버 다이버들이 많이 늘었다. 마니아층도 늘어났지만, 체험 다이버들이나 휴가를 이용해 가끔씩 스쿠버를 즐기는 다이버들도 부쩍 늘었다. 그런데 다이빙 활동의 평균 수명은 얼마나 될까? 처음 다이빙을 배운 후 과연 몇 년 동안이나 다이빙을 계속하게 될까? 주위 사람들을 보자면 보통 처음 1년은 새로운 마음으로, 이후 2년은 자발적으로, 다음 2년은 주변 ...
카메라를 들고 셔터를 당길 때 가끔 생각하는 게 있다. 사람의 눈을 카메라의 렌즈와 카메라가 아직 따라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특별한 조작을 하지 않으면 카메라는 사람의 눈이 볼 수 있는 범위를 표현하지 못하는데 그것은 안구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현대 기술의 전자 기계적 메커니즘이 따라오기는 아직 역 부족이기 때문이다. 아마 영원히 생물학적 메커니즘을 따라오기 힘들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