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me Colors
Layouts
Wide Boxed
스쿠버넷 여행쇼핑몰

참복의 수중세상 엿보기 - 삶이 치열한 겨울의 동해바다 수중

모래 속에 몸을 숨긴 채 먹잇감을 노리고 있는 연꽃게

육상과 달리 수중의 계절 변화는 사뭇 색다른 풍경을 보여준다. 육상에서는 앙상한 나뭇가지가 겨울을 연상케 하지만, 동해안이나 남해안의 수중에서는 미역이 돋아나고 온갖 해조류가 마치 봄에 새싹이 파릇하게 올라오듯 생명의 기운이 싹트는 계절이 겨울인 것이다. 하여 수중생물들 특히 수많은 어류들의 산란철이 겨울에 집중되어 있어서 다이버들이라면, 비록 육상 기온이 쉽사리 바다를 찾기 힘들게 하지만, 다양하고 생동감 넘치는 수중생태계를 관찰해보는 기회로 겨울 다이빙을 권해보려는 생각이다.

그물코쥐치는 밤에 해조류나 바위에 의지해 잠을 자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바닥에 떨어진 도루묵 알을 가슴에 품고 경계하는 민꽃게

필자가 동해안 북단쯤에서 생활하게 된 터라 자연스레 틈 나는 대로 수중의 사계절 모습을 기록하듯 특정한 생물의 생태를 관찰하는 습관이 생기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새로운 호기심과 선 듯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들이 종종 나타나는 까닭에 지속적으로 연결해서 모니터링 하게 된다. 쉽게 지나칠 수 있는 곳들도 자세히 관찰하다 보면 이따금 수중생물들의 감동적이며 신비로운 모습들을 만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생존과 관련된 이들의 모습은 온갖 감성을 자극하기도 하고, 때론 가슴 뭉클한 깨우침으로 타성에 젖어있던 내 삶의 가치관을 바꾸어 놓기도 한다.

우선 최근 12 월 한달 동안의 큰 변화는 가을철까지 안보이던 대왕문어들이 가까운 곳으로 여지없이 이동해옴을 볼 수 있었고, 대왕문어가 이동을 하는 시기는 곧 심퉁이(뚝지)도 함께 산란을 위해 같은 시기에 비슷한 수심에서 둥지를 튼다는 것이다. 아랫배에 흡반을 가진 뚝지는 오롯이 암반의 아래쪽에 은신하여, 흡반을 이용해 바위에 견고하게 붙어 있다. 자세히 보면 가슴지느러미를 부지런히 움직이며 물바람을 일으켜 산란해 놓은 알 덩어리(난괴)에 신선한 산소를 공급해주고 있다. 건강한 자식들을 부화시키기 위한 시련의 계절이기도 한 것이다.

바닥에 떨어져 모여 있는 도루묵의 알들 사이에 다시 알을 낳고 있는 도루묵

며칠 앞뒤로 시차를 두고 도루묵 무리들의 산란이 이루어지는데 이들은 해안선에 가까운 수심 5m 내외까지 접근한다. 한번은 야간다이빙으로 들어갔다가 도루묵 떼에 갇힌 듯 앞이 보이지 않는 흔하지 않은 경험에 놀라기도 했다. ^^

어렵게 해안선에 당도한 도루묵 무리들은 암수가 서로 섞여 유영을 하면서 적당한 산란터를 물색하며 산란의 적기를 서로 맞추는 듯 일사불란한 하게 교감을 나누는 듯 보였다. 연안까지 몰려드는 이유는 점액질의 난괴가 단단하게 고정되어줄 해조류가 해안가나 수심이 얕은 곳의 서식하기 때문이다.
 
더 이상 들어갈 틈이 없을 정도로 통발 속에 가득 들어 앉은 도루묵들

이렇듯 해양생물들은 크던 작던 종족 번식의 최적지를 신기하게도 알아내는 능력을 본능적으로 타고나는 것 같다. 태어나서 단 한번의 산란을 하는 것 치고는 너무도 신비로운 본능이 아닐 수 없다.

도루묵들을 며칠 지켜보면 어떤 무리들은 해조류에 견고하게 난괴를 붙여 놓는가 하면 어떤 무리는 그만 영점을 잘못 맞추는 바람에 바닥으로 그냥 떨어져 버리기도 한다. 집단 산란이 폭풍처럼 지나고 나면 필자가 보기에는 5 대 5 정도로 난괴 부착의 성공률이 높지 않다. 바닥에 떨어져 모래밭에 나뒹구는 난괴들은 필시 수정이 이루어지지도 않았고, 설사 수정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다른 생물들의 먹잇감으로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물론 도루묵의 암컷들도 산란 후 대략 하루 이틀 힘없이 유영을 하다가 이내 바닥에 내려앉아 가쁜 숨을 몰아 쉬다가 생을 마감하게 된다. 남은 알들은 어미가 없이 홀로 대를 이어가야 하는 운명을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다.

비어 있는 홍합 껍질 속의 베도라치와 갓 산란한 듯 보이는 흰색의 반투명한 알들

또 이 시기가 되면 양미리도 엄청난 군단을 이루며 산란시즌을 맞이한다. 대략 수심 25 m 내외의 고운 모래 바닥에서 갑각류를 사냥하며 성장을 해오다가 12 월 하순 경이면 동해안을 타고 내려오는 곤쟁이 떼를 주 먹이로 하면서 엄청난 크기로 무리를 완성하며 그 절정에 다다른다.

크기가 10여 cm인 가녀린 베도라치들의 산란도 관찰했는데 비어있는 홍합 껍질을 용케도 찾아내어 암수 두 마리가 비집고 들어가서 산란을 이루어내고, 알들을 지키고 있었다. 무릇 모든 생명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자손 번식인 것이다. 이들의 부화를 끝까지 지켜보지 못한 것은 아쉽다.

혼신의 노력으로 알들이 부화될 때까지 지켜주고 있는 수컷쥐노래미

11 월 말경부터 여기저기서 산란을 시작했던 쥐노래미들 역시 12 월은 고단한 계절이다. 암컷들이 잔뜩 산란을 해놓고 떠난 자리에 혼인색을 노랗게 띈 수컷 쥐노래미들은 경계를 게을리 하지 않고 있다. 온종일 침입자를 경계하면서도 양 가슴지느러미로는 바람을 일으켜 알들을 씻겨내며 힘겹게 알들을 부화시키려 애쓴다. 약 한달 간의 시간이 경과하면 까만 눈망울이 생기면서 부화가 일어난다. 지극정성으로 지켜낸 아비 덕에 하나 둘씩 수중세상으로 튀어나가는 쥐노래미의 눈꼽만한 치어들을 지켜보노라면 참으로 감동스럽기까지 하다.

모래에 숨어있는 귀꼴뚜기를 사냥한 민꽃게

이렇듯 차가운 동해의 바다 속으로 다이빙을 할 때면 항상 오늘은 어떤 생물을 만나볼까 하는 기대와 설렘을 갖게 된다. 그냥 늘 하던 다이빙이라고 멀리서 스쳐 지나가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가까이 다가가서 단 5분 만이라도 시간을 내서 가만히 지켜보면 바닷속에 숨겨진 또 하나의 감동을 만날 수 있다. 이렇게 우리가 조금씩 바닷속의 해양생물들을 이해해가면 그것이 다시 수중여행을 즐길 수 있는 폭을 점차 넓혀 줄 것이란 생각에 많은 이들과 이런 내용들을 공유하고 싶다.

수중생물들의 탄생이 빈번하게 관찰되어 살아있는 생명의 소중함과 그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는 동해의 겨울바다는 육상의 추위를 충분히 이겨낼 수 있을 정도로 매력이 가득하다. 동해 바다를 제대로 느낄 수 있는 계절이 돌아왔으니 이제 드라이슈트를 준비해서 겨울 다이빙에 도전해보자.
늘 안전하고 즐거운 다이빙 되길 바랍니다.

박정권



  • 이전글 DAN의 다이빙 사고 사례-DAN이 도와주었습니다!
  • 다음글 노인 아버지와 중년 아들의 라자암팟 여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