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me Colors
Layouts
Wide Boxed
스쿠버넷 여행쇼핑몰

조진생 고급수중사진 교실 - 고스트파이프피시 촬영하기

조진생 고급수중사진 교실 - 고스트 파이프 피시 (ghost pipe fish) 촬영하기

고스트 파이프 피시는 마크로 즐겨 촬영하는 수중사진가들이 몇 번 이상은 만났을 것이며 대부분 촬영자들은 몇 장 이상의 사진을 간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말로 하면 유령고기이며 유령이 라는 말은 대부분 시각적인 이미지를 담게 된다. 투명하다는 뜻으로 쓰이기도 하고, 선뜻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의미가 있기도 하며, 수중생물로서 위장을 잘하여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는 뜻도 내포하는 것 같다. 혹자는 어느 순간 나타났다가 며칠 지나면 없어졌다가 며칠 후 다시 나타나서 그렇게 이름을 부른다는 말도 있다. 고스트 파이프 피시의 종류는 약 6 종이 있으며 아직 영어 이름이 공식적으로 인증되지 않은 종도 있다. 대부분 인도 태평양지역에 서식하며 아주 계절적인 요인을 많이 타서 몇 개월 나타났다가 그 후 갑자기 사라지곤 한다. 강한 조류에서는 바다나리와 함께 움직여서 눈에 띄지 않는다. 가장 흔한 것은 ornate ghost pipefish (harlequin ghost pipefish) 와 robust ghost pipe fish이다.

성체가 되면 최대 15cm까지 자라므로 일반적으로 화각이 큰 렌즈로 촬영하는 것이 유리하다. 풀 프레임 기준으로 전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60mm 이하 초점거리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보통 photogenic한 종은 ornate type(할리퀸)이 대부분일 것이다. 그 중 색감있는 붉은색이나 노란색 혹은 어떤 경우 유어는 투명한 body에 붉은 줄이 있는 경우도 있어 마크로 촬영자들에게 인기를 누린다. 모든 종의 색과 문양은 서식위치에 존재하는 바다나리나 기타 산호 종류의 색깔과 연동되어 위장을 쉽게 하게 한다.
대부분 마크로 촬영자들의 경우 DSLR일 경우는 100mm나 105mm 렌즈를 많이 사용하는데 몸 전체를 화면에 담으려면 상당한 거리를 두고 촬영하여야 하며 결과물은 촬영하는 물 층이 두터워서 선예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초점길이가 긴 렌즈를 장착할 경우 눈을 중심으로 일부분만 촬영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 60mm 이하의 렌즈를 사용할 경우 고스트 파이프 피시의 몸 전체는 물론이고 그것과 함께 주위에 서식하는 환경을 프레임에 담을 수 있을 것이다. 필자는 그 동안 열대지방에서 여러 종류의 고스트 파이프 피시를 만났으며 일반적으로 촬영 시에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1.색의 표현
다양한 색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의 색에 대해 어떻게 표현할지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특히 TTL 모드 촬영 시 색감에 따라서 노출 보정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피사체와 그 서식환경의 색과 문양은 거의 비슷함으로 그것에 따라서 배경을 결정해야 할 수 있을 것이다. (푸른색 혹은 검은 색 등)

2.고유의 질감
고스트파이프 피시는 고유의 피부 질감이 있다. 잘 표현할 수 있으면 좋은 사진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감을 잘 나타내려면 정면광보다는 측광이나 사광이 유리하다.

3.환경의 표현
모든 마크로 촬영에서 마찬가지지만 한 프레임에 가급적이면 피사체 생물과 서식환경을 어울리게 잘 표현하는 것이 좋다.


4.눈 맞춤
다른 마크로 사진처럼 예외 없이 눈의 초점은 맞추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것 못지않게 아이 컨택eye contact을 표현하는 것도 중요하다.


5.어두운 색은 피한다
가장 자주 보이는 것 중의 하나는 검은 색계통의 할리퀸 고스트 파이프 피시인데 촬영 후 결과물은 대부분 포토제닉하지 않다 non photogenic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6.마크로 와이드 촬영
피사체의 위치나 크기를 고려할 때 마크로 와이드 사진에 아주 적합한 피사체이다. 미리 서식처를 알고 들어간다면 마크로 와이드 촬영을 준비해서 들어가는 것도 좋을 것이다.


7.지느러미 펼침
고스트 파이프의 촬영은 지느러미가 수축했을 때 보다 모든 지느러미를 폈을 때 촬영하는 것이 좋다.

조진생


  • 이전글 고급수중사진교실 - 수중사진과 입체적 감각
  • 다음글 고급수중사진교실 – 피그미해마 촬영_조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