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카메라의 시대가 되며 수중촬영의 접근이 쉬워지고 과거에 비해 다이빙을 하면서 수중촬영을 즐기는 다이버가 많이 늘면서 수중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중촬영을 한다는 것은 일반적인 펀 다이빙에 비해 물속 생물에 조금이라도 손이 갈 수 밖에 없다. 특히 마크로 촬영의 경우 더욱 그렇다는 것은 수중사진을 하는 모두가 동의 할 것이다.
연산호 안에 공생하는 투명 새우인데 연산호 폴립 속 깊은 곳에 숨어있는 새우와 폴립의 어울림 그대로의 상태를 촬영하였다.
최근 국내외에서 에코다이빙 그린 다이빙 등의 이름으로 수중환경 보호와 수중생물 의 올바른 관찰에 대한 교육과 캠페인을 버리는 것은 수중사진가의 수가 늘어난 것과 연관이 있어 보인다. 특히 필자는 최근 수중 사진 교육에서 친환경적 수중촬영의 테크닉에 대해 교육도하고 홍보도 하는 것을 접하였다.
같은 종류의 산호에 붙어있는 공생새우이지만 피어있는 폴립이 살아있는 것을 유지하려면 거기에 있는 피사체 생물을 찾기 위해서 산호에 조금이라도 손이 가서는 안 된다. 2,3번 모두 일단 산호에 폴립이 핀 것을 보면 조심해서 천천히 그리고 유심히 피사체 생물 (주로 공생 생물 )을 찾아봐야 할 것이다.
공생게 역시 움직이므로 위의 사진처럼 연산호의 폴립이 피었을 경우 시각을 가리지 않는 앵글이 나올 때 까지 인내를 가지고 기다려야한다.
최근 들어 매스컴을 통해 그동안 국내 다이빙 패러다임의 변화를 촉구를 하는 의견들도 나오며 일부에서는 물속 자연환경 보호와 다이빙 인프라보호는 다른 시각으로 봐야한다는 의견들도 있었다. 친환경적 다이빙측면에서 수중사진가들은 크게 두 가지의 문제를 앉고 있는데 첫째는 본인도 의도하지 않게 산호 등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 둘째는 본인이 의도하는 사진을 찍기 위해 생물에 위해를 가한다던지 괴롭힘을 입히는 것이다. 그동안 친환경적 수중촬영의 필요성과 행동지침 테크닉은 지금 까지 수차례 이야기 되어 졌고 필자는 여기서 그것을 논하기 보다는 친환경적 촬영의 사진으로서의 가치를 이야기하고 싶다. 필자 역시 다이빙을 시작하고 사진을 시작할 무렵 그런 인식 없이 시작 하여 하여 과거의 사진을 꺼내보면 낮을 뜨겁게 하기도 하는 사진을 발견하기도 한다. 수중촬영은 단순히 미적 가치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고 수중환경의 아름다움과 생태를 담는 기능을 가진다고들 이야기한다. 그런 측면에서 수중생물에 손상을 입히거니 괴롭힘을 입히는 것으로 보이는 사진은 미적 가치에 앞서 수중사진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질 것이다.
골고니안 산호에 있는 피그미해마. 항상 산호의 폴립이 피어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강한 조류에서 폴립이 피는 것 같다. 하지만 폴립이 피어있으면 위 사진처럼 피그미 해마를 가리게 되는데 폴립과 해마의 어울림을 표현한다면 좋은 사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씨판 (조름) 이 활동적으로 꽃을 피웠을 때 역시 거기서 피사체를 발견한다면 최고의 순간일 것이다. 이런 씨판에 조금이라도 뭔가에 의해 건드려지면 피어있는 씨판은 금방 쪼그라들고 만다.
일반적으로 수중사진가들의 친환경 수중촬영은 주로 마크로 촬영에서 문제가 되는듯하다. 물론 광각 촬영 시에도 문제가 되기는 하지만 본 칼럼에서 이야기 하려는 사진의 결과물의 관점에서는 주로 마크로 촬영이 논란의 대상일 것이다. 마크로 촬영 시 움직임이 많지 않거나 생존을 위해 은폐하지 않는 생물은 역시 결과물에서 논란이 되지 않을 듯싶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중사진가가 선호하는 마크로 피사체는 움직이며 생존을 위해 주위 생물이나 물체와 비슷한 보호색이나 같은 무늬의 모양으로 공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눈에 띄지 않는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경우도 있다. 수중사진은 바다 속의 실제의 생태상태의 아름다움을 표현한다는 명제아래 촬영에 임한다면 모든 마크로 생물들은 가급적이면 은폐되어있는 그대로, 그리고 보호색 그 자체로 촬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작가의 의도에 따라서 생물체를 은폐된 곳에서 촬영하기 쉬운 곳으로 이동 시킨다던지 산호를 건드려 생물체를 가리고 있는 산호의 촉수나 폴립이 들어가게 한 후 촬영하는 경우는 그리 좋은 사진은 아닐 것이다. 마크로 촬영을 하는 수중 촬영가는 마크로 촬영 첫 번째 단계인 피사체를 찾는 시점부터 전혀 손대지 않고는 찾기조차도 어려운 피사체들이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일부 자연보호수중사진가는 마크로 촬영을 하지말자라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씨판(조름) 이 활동적으로 꽃을 피웠을 때 역시 거기서 피사체를 발견한다면 최고의 순간일 것이다. 이런 씨판에 조금이라도 뭔가에 의해 건드려지면 피어있는 씨판은 금방 쪼그라들고 만다.
아주 미세한 구조의 히드라에 붙어있는 갯민숭 달팽이. 이것 역시 약간의 건드림으로도 전체의 프레임이 흐트러질 수 있을 것이다.
연산호 공생게인데 연산호와 비슷한 무늬를 띄고 있어서 잘 눈에 띄지 않는다. 눈에 띄고 촬영하기 좋은 곳으로 유도하기 보다는 고배율로 촬영하던지 아니면 촬영 후 크롭 확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미를 더해줄 수 있을 것이다.
어쨌든 지금 까지도 많은 논란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필자가 본 칼럼에서 말하고 싶은 것은 물론 수중촬영을 하는 촬영가들은 일반 다이버 보다 더 친환경적 다이빙에 관심을 가지고 더 앞장서야 하겠지만 마크로 촬영 시 피사체의 생태 등을 잘 파악하고 원래의 상태를 가장 잘 표현하고 그런 상태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훌륭한 마크로 사진의 한 측면일 것이다.
촉수에 가려서 거의 보이지 않은 공생새우. 보이는 곳으로 유도 하려고 약간만 건드려도 폴립은 다 없어진다. 인내를 가지고 촬영할 수 있는 앵글이 나올 때 까지 시간을 두고 기다려야할 것이다.
보호색과 보호무늬로 은폐를 아주 잘 하고 있는 경산호 공생새우이다. 이런 종류의 공생새우는 촬영하기 쉬운 앵글이 나오기 까지 기다리지 않고 피사체에 조금이라도 자극을 시키면 그 다음은 움직임이 많아져 촬영이 더 어려워진다.